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147

[환경설정] google chrome remote desktop 사용하여 서버 원격 접속 1. Google Chrome Remote Desktop의 기본 원리Google Chrome Remote Desktop은 한 컴퓨터(원격 컴퓨터)를 다른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(로컬 기기)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 클라이언트와 서버 서버: 원격으로 제어될 컴퓨터(Ubuntu 20.04가 설치된 컴퓨터)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. 이 서버가 화면을 캡처하고 키보드/마우스 입력을 받아 처리합니다. 클라이언트: 원격 접속을 시도하는 기기(예: 다른 PC의 Chrome 브라우저 또는 스마트폰의 앱)입니다.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연결하여 화면을 보고 제어합니다. 네트워크 연결:두 기기(서버와 클라이언트)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됩니다. Google의 서버가 중간에서 이 연결을 중개. 즉, 직접적인 I.. 2025. 3. 9.
[초급] 파이썬 - 함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5. 3. 9.
[초급] 파이썬 리스트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5. 3. 8.
[FL] Federated Learning tutorial (flwr) https://github.com/adap/flower GitHub - adap/flower: Flower: A Friendly Federated AI FrameworkFlower: A Friendly Federated AI Framework. Contribute to adap/flow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github.com 개발환경IDE : colabfile : FL_test.ipynb목표- 30분 연방학습 튜토리얼- 연방학습 알고리즘을 구현해보자.- 실제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학습 과정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현해보자.환경설정python으로 진행하므로conda, pyenv, colab 이든 모든 괜찮다.나는 colab으로 간단하게.. 2025. 3. 3.
파이썬 OOP vs FP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5. 3. 2.
[NLP] 임베딩(Embedding) 원-핫 인코딩 방식에서발전된 방법으로 단어의 의미를 수치적으로 표현하여 컴퓨터가 이해하게 만드는 기법이다.   비교하여 설명하면원-핫 인코딩은 '강아지'를 [0, 1, 0, 0, ...]처럼 0과 1로만 표현하지만,임베딩은 '강아지'를 [0.1, -0.2, 0.3, ...]처럼 의미를 담은 숫자로 바꾼다. 이 숫자들은 단어의 느낌(귀여움, 털, 짓기 등)을 반영된 리스트(벡터)이다. 룩업 테이블(Lookup Table)파이썬 딕셔너리 같이 key-value를 연결하는 것처럼단어-단어의 특성을 연결해준다.embedding_layer = model.layers[0] # 첫 번째 레이어 (Embedding)embedding_weights = embedding_layer.get_weights()[0] # 룩.. 2025. 2. 27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