섀시는 자동차의 기본 구조이며, 차체와 주요 부품을 지지하고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.
섀시의 역할과 기능은 전기차와 내연기관차가 유사한데 어떤 관점을 달리할 지 알아보자.
다음은 테슬라 X 모델의 섀시를 보여주는 3D 모형이다.
차체에서 파워트레인에 해당하는 부품이 들어가는 다음과 같다.
② : 배터리팩
③ : 모터
④ : 인버터
⑤ : gearbox
전기차 섀시의 구조는 크게 프레임, 동력전달장치, 조향장치, 현가장치, 제동장치, 전자제어장치로 구성됩니다.
- 프레임(Frame)
자동차의 기본 구조, 차체와 주요 부품을 지지하고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.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와 달리 배터리와 전기모터가 탑재되어 있어 프레임의 설계 복잡해지는데 전기차 프레임은 배터리와 전기모터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이 높아야 하며, 충돌 시 승객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.
- 동력전달장치(Power Train System)
엔진의 동력을 구동바퀴로 전달하는 장치, 전기차는 전기모터가 동력원 역할을 합니다. 전기모터는 배터리에서 공급받은 전기를 통해 구동축을 회전시키고, 구동축은 차축을 통해 구동바퀴를 움직임
- 조향장치(Steering system)
차량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입니다.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와 마찬가지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조향장치를 작동시킵니다. 조향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력을 구동축으로 전달하여 차량의 방향을 전환합니다.
- 현가장치(Suspension)
차량의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을 높이는 장치,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와 마찬가지로 서스펜션, 스프링, 댐퍼 등으로 구성된 현가장치를 탑재함, 현가장치는 노면의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의 무게를 고르게 분산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주행 안정성을 높임.
- 제동장치(Brake)
차량을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줄이는 장치,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와 마찬가지로 보통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로 구성된 브레이크 시스템을 탑재합니다.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패드가 디스크를 마찰하여 차량을 감속시킵니다.
- 전자제어장치(Electronic Control Device)
전기차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, 엔진제어장치, ABS,ESC, TCS 등 여러 장치가 있다.
전자제어장치 | 역할 | 설명 |
ABS | 급제동 시 바퀴 잠김 방지 |
바퀴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바퀴가 잠기지 않도록 제동력 조절
|
ESC | 차량 주행 안정성 유지 |
차량의 횡방향 가속도, 각속도,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 등을 감지하여 차량이 미끄러지거나 슬립하는 것을 방지
|
TCS | 구동 바퀴 미끄러짐 방지 |
구동 바퀴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구동 바퀴가 미끄러지면 제동력을 조절하여 미끄러짐
방지 |
정리하면 다음과 같다.
구조 | 역할 |
중점적으로 봐야할 내용
|
프레임 | 차체와 주요 부품을 지지하고 연결 |
강성, 충돌 안전성
|
동력전달장치 | 전기모터의 동력을 구동바퀴로 전달 |
전기모터의 출력, 구동축의 효율성
|
조향장치 | 차량의 진행 방향을 조절 |
스티어링 휠의 응답성, 조향 각도
|
현가장치 |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을 높이는 |
스프링의 강성, 댐퍼의 감쇠력
|
제동장치 | 차량을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줄이는 |
제동력, 제동거리
|
전자제어장치 | 자동차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 |
전자제어 시스템의 안정성
|
전기차 섀시 발전 사항
- 경량화 : 차량의 연비와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게를 줄이기 위한 경량화 설계가 적용되고 있습니다.
- 강성 강화 : 전기차는 배터리와 전기모터 때문에 차량의 안전성을 위해 프레임의 강성을 강화
- 구조 최적화 : 차량의 무게와 부피를 줄이고, 공기역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조 최적화 기술이 개발
'EV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기차 파헤치기 < part 1 : powertrain > (1) | 2023.10.03 |
---|---|
전기차 파헤치기 <intro : 전기차 구성> (0) | 2023.09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