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자공학/전자회로6

[이론] Common Collector Amplifier 실험 7. 공통 컬렉터 증폭기 1. 실험 목적 본 실험은 공통 컬렉터 증폭기(이미터 팔로워)의 기본 특성과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 특히 공통 컬렉터 증폭기의 전압 이득이 약 1에 가깝고, 높은 입력 임피던스와 낮은 출력 임피던스 특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. 또한 바이어스 회로 설계 방법을 학습하고, 임피던스 정합 및 버퍼링 용도로서의 공통 컬렉터 증폭기의 실용적 응용 가능성을 탐구한다. 2. LTSpice 시뮬레이션2.1 회로도 입력2.2 DC 바이어스 해석베이스 바이어스 전류I_BQ1.642×10−51.642×10−5 A = 16.42 μA이미터 바이어스 전류I_EQ−0.00532108−0.00532108 A = -5.32 mA (방향 주의)컬렉터 바이어스 전류I_CQ0... 2025. 4. 24.
[이론] Common Emitter Amplifier (BJT) 실험 6. "BJT Common Emitter" 증폭기 1. 실험 목적 BJT(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) 공통 이미터(Common Emitter, CE) 증폭기의 기본 원리와 동작 메커니즘을 이해한다. 본 실험을 통해 CE 증폭기의 직류 바이어스 해석, 소신호 증폭 특성(전압 이득,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), 그리고 실험을 통해 트랜지스터의 증폭 원리와 바이어스 회로의 중요성을 학습2. LTSpice 시뮬레이션측정해야 할 항목 정리 표아래 표는 NPN 및 PNP형 BJT 공통 이미터 증폭기 시뮬레이션에서 반드시 측정해야 하는 값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DC 바이어스 해석베이스 바이어스 전류 I_BQ.OP(BIAS) 해석 결과에서 측정 베이스-이미터 바이어스 전압 V_BEQ.OP(BIAS) 해석 결과에서 측정.. 2025. 4. 17.
[이론] 전압 분배 바이어스 회로, 자기 바이어스 회로 실험 5. 전압 분배 바이어스 회로, 자기 바이어스 회로1. 실험 목적전파 정류회로와 리미터 회로의 기본 원리와 동작 메커니즘을 이해하고, 실제 회로 구성을 통해 다이오드의 순방향/역방향 특성을 분석하며, 브릿지 정류회로 및 리미터 회로의 구현을 통해 교류 신호의 정류 및 제한 과정을 학습한다.2. LTSpice 시뮬레이션전압분배 바이어스(Voltage Divider Bias) 회로제일 위에 3번째 줄까지는 점으로 표시되어 있는 노드들의 전압을 표현했는데 위에서 부터 n001, n002, n003 이다 - BJT 전압이득 계산β = Ic / Ibβ = 0.00710907 A / 2.27407e-5 Aβ = 312.61 - BJT 동작영역(모드) : ActiveV_BE = V_BE=V(n003) = V(n.. 2025. 4. 10.
[실험] BJT 전류-전압 특성 실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5. 4. 10.
[실험] 브릿지전파정류회로와 클리퍼 회로 1. 실험기구 및 재료- Function Generator, Ociloscope, DC Power supply- Diode(1N4004) 4개, 1kΩ 저항 1개, 4.7, 22, 220uF 커패시터 1개씩 2. 실험 방법2.1 회로 구성 및 연결[회로1] 브릿지 전파 정류회로(Full Wave Bridge and Regulator)[회로2] 브릿지 전파 정류회로 with 커패시터[회로3] 양의 클리퍼 회로(Parallel-Positive Limter)[회로4] 음의 클리퍼 회로(Parallel-Negative Limter)[회로5] 양의 클리퍼 회로 with 순방향 바이어스 (Parallel-Positive Limiter with positive bias) [회로6] 음의 클리퍼 회로 with 역방향.. 2025. 4. 1.
[실험] PN 접합 다이오드 전류-전압 특성 측정하기 1. 실험기구 및 재료DC power supplyMultimeterbreadboard다이오드(1N4004)저항(1kΩ) 2개2. 실험 방법2.1 회로구성 및 DC 전원 연결2.2 멀티미터 측정법2.2.1 전압 측정 : 소자 양단에 스코프로 측정2.2.2 전류 측정 : 소자 입력단과 이전에 전류가 흐르는 곳 측정3. 실험 결과  4. 결론 및 고찰 2025. 3. 27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