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관리4

[Linux] memory 관리 명령어 모음 요녀석.. 몇 주 전부터 계속 뜨는 걸 해결해보았다. 1. 메모리 관리 시각화(1) 기본 메모리 상태 확인free -h: 현재 시스템 메모리 사용량과 여유 메모리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total: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총 메모리 (RAM).used: 현재 사용 중인 메모리.free: 사용 가능한 여유 메모리.shared: 공유 메모리 영역 (프로세스 간에 공유되는 메모리).buff/cache: 디스크 캐시와 버퍼에 사용되는 메모리, 실제로는 '사용 중'이지만, 필요하면 즉시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전환available: 시스템에서 실제로 사용 가능한 메모리vmstat: 가상 메모리와 관련된 더 상세한 정보를 보여줍니다.  /proc/meminfo fileMemTotal: 시스템에 설치된 총 물리적.. 2024. 10. 19.
[Git]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의 통일 원격 저장소의 내용을 로컬 저장소와 일치시키기git fetch origin # 원격 브랜치의 최신 내용을 가져오기git reset --hard origin/  로컬 저장소의 내용을 원격 저장소의 전 커밋으로 일치시키기git reset --soft ^git push --force origin/ git push --force는 주의해서 사용!! 2024. 9. 26.
[Git] git rebase - commit 기록을 정리하고 싶다! Github README를 정리 중  브랜치 내에서 하나로 합칠  필요성을 느꼈다.    첫 번째 커밋의 앞에는 pick을 그대로 두고, 두 번째 커밋의 앞에는 squash (또는 s)를 입력합니다. 이를 통해 두 번째 커밋이 첫 번째 커밋에 합쳐지게 됩니다 순서는 상관없이 서로 합쳐진 후 새로운 commit id를 가진다.그렇지만, 반대로 하면 안 이루어지긴 한다. 또, 위 내용은 Vim 편집기 여서 저장 후 나가기 명령어인 :wq를 작성 후  원래 prompt로 돌아오게 되면 다음과 같이 되고   - 강제 push!git push origin [branch name] --force  성공적으로 변경했다! 2024. 8. 14.
anaconda에서 git 설치 및 git clone 세부사항 환경 :window 10git : 2.40.1ananconda :24.02.01   pip install git conda install git  git --version Local 저장소 만들기git init Remote 저장소 주소 추가 git remote add [저장소명] [github repo URL] ( 저장소 이름은 origin으로 하자!)git remote rename [기존 이름] [변경할 이름] Remote 저장소 헤제    원하는 파일을 Git Repo에 올리고 싶음 mkdir [파일이름]git initgit remote- v git remote set-url origin [token]@[repo URL]git add .git commit -m "[커밋 메시지]"git push ori.. 2024. 7. 7.